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서구 제2선거구(부산)

덤프버전 :

||
파일:서구_제2선거구(부산)8재.png
선거인 수43,247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서구 일부
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암남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최도석 (재선)




1. 개요[편집]


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에 위치한 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동, 암남동을 관할한다. 부산남항과 부산공동어시장, 송도해수욕장, 부산대학교병원 등이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.

원도심답게 국민의힘의 지지세가 아주 높은 편이며 동아대학교의 젊은 표심이 있고 비교적 재개발이 더 된 옆 지역구에 비해서도 보수 성향이 강하다.[1] 그래서인지 부산 전체를 휩쓸다시피했던 더불어민주당 바람이 분 7회 지선에서조차 이 곳은 단 47표차로 자유한국당이 승리하였다.[2]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서구 제2,3선거구
제2대최경석
ta-hash-start=w-991d70959133735c15f5ae628fa08d55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3]
김허남1995년 7월 1일 ~ 1996년[4][5]
김영오
ta-hash-start=w-d68ccc2ec001fb9d07064ae563d43069[[파일: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.svg
1996년 7월 12일 ~ 1998년[6]
서구 제2선거구
제3대조양환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7]
제4대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[8][9]
제5대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08년 1월 31일[10]
김종대
무소속

2008년 6월 5일 ~ 2010년 6월 30일
제6대공한수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0년 7월 1일 ~ 2014년 6월 30일[11][12]
제7대
ta-hash-start=w-e9c1f3f42d92dc3d6f18596cb04e307f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 3월[13]
제8대최도석
ta-hash-start=w-eca52e17dc85d16dc569b39c193e1c9a[[파일: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
제9대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부용동, 부민동, 토성동, 아미1동, 아미2동, 초장동, 충무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최경석(崔景錫)15,3011위

ta-hash-start=w-4f9c06bf9590978fe9ee1b803a399a46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59.21%당선
2권재인(權載仁)10,5382위

무소속

40.78%낙선
선거인 수39,802투표율
68.23%
투표 수27,158
무효표 수1,319

서구 제3선거구
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허남(金許男)10,7101위

ta-hash-start=w-5d70e41830fc49ffb65095fd1185cd1e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3.18%당선
2정오규(鄭吾奎)8,2232위


33.15%낙선
3백길영(白吉英)5,8693위

무소속

23.66%낙선
선거인 수40,943투표율
63.25%
투표 수25,899
무효표 수1,097

2.2. 1996년 재보궐선거[편집]


서구 제3선거구
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김영오(金永五)-1위

ta-hash-start=w-d94de3696df7260a4bb04c5d443c44c3[[파일: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.svg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2.3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토성동, 아미1동, 아미2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조양환(曺暘煥)20,758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69.57%당선
2하금봉(河金鳳)9,0772위

ta-hash-start=w-902447c6ce9d4f39e12a463b4d4ff759[[파일: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.svg
30.42%낙선
선거인 수68,153투표율
45.65%
투표 수31,114
무효표 수1,279

2.4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조양환(曺暘煥)18,418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78.67%당선
3용진희(龍珍熙)4,9912위
21.32%낙선
선거인 수63,750투표율
39.03%
투표 수24,882
무효표 수1,473

2.5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조양환(曺暘煥)19,2981위
73.60%당선
6박찬훈(朴瓚勳)6,9222위
26.39%낙선
선거인 수58,624투표율
46.38%
투표 수27,192
무효표 수972

2.6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공한수(孔漢壽)13,1621위
57.14%당선
7허승만(許承萬)9,8702위
42.85%낙선
선거인 수54,212투표율
44.48%
투표 수24,114
무효표 수1,082

2.7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공한수(孔漢壽)16,2921위
61.75%당선
4김종대(金鍾大)7,7572위
29.40%낙선
5곽정훈(郭貞勳)2,3343위
8.84%낙선
선거인 수53,002투표율
51.35%
투표 수27,220
무효표 수837

2.8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재영(金材泳)11,7002위
46.29%낙선
2최도석(崔道碩)11,7471위
46.48%당선
6김국현(金國鉉)6124위
2.42%낙선
7박찬훈(朴瓚勳)1,2123위
4.79%낙선
선거인 수48,768투표율
53.62%
투표 수26,152
무효표 수881

2.9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서구 제2선거구
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암남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민서(朴珉緖)5,3752위
26.40%낙선
2최도석(崔道碩)13,3401위
65.53%당선
4허승만(許承萬)1,6403위
8.05%낙선
선거인 수43,247투표율
48.17%
투표 수20,831
무효표 수476
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저번 선거에서도 승리하지 못할만큼 험지이다보니 후보군을 찾기 힘든 분위기다. 추가 공모를 한 끝에 구의회 가선거구[14]에서 구의원 가번 공천을 받았던 박민서 더 좋은 부산 대표가 이 곳에 출마하기로 하였다.[15]

국민의힘에서는 현역 시의원인 최도석 부의장과 이용운 전 부산서구문화원 사무국장 간의 양자경선이 치러졌고, 최도석 후보가 승리하며 재선에 도전한다.

무소속 후보로는 12년 전에도 여기에 무소속 출마를 한 바 있는 허승만 전 구의원이 출사표를 던졌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최도석 후보가 이번에는 40%p 가까운 격차로 압승을 거뒀다. 모든 지역에서 최도석 후보가 60% 이상을 기록하였으며, 그나마 아미동에서 63.6%로 낮은 득표율을 올렸고, 반면 남부민1동에서는 70%로 최다 득표율을 올렸다. 관외사전투표에서는 격차가 20%p 밑으로 나와 격차가 40%p 이상으로 벌려지지는 못했다.


[1] 고신대학교 송도캠퍼스가 있긴 하나, 학부생 숫자가 동아대학교의 1/3 정도다.[2] 이 조차도 컷오프에 반발한 무소속 후보가 1000표 이상 갈라먹어서 격차가 거의 상쇄된 것이다.[3] 서구 제2선거구 (부용동, 부민동, 토성동, 아미1동, 아미2동, 초장동, 충무동)[4] 15대 총선 자유민주연합 전국구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사직.[5] 서구 제3선거구 (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)[6] 2회 지선 서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7] 서구 제2선거구 (토성동, 아미1동, 아미2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)[8] 서구 제2선거구 (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남부민3동, 암남동)[9] 1998년 10월 1일에 아미1,2동이 아미동으로 통합되었고, 토성동은 충무동에 통합되었다.[10] 18대 총선 서구 출마를 위해 사직.[11] 서구 제2선거구 (아미동, 초장동, 충무동, 남부민1동, 남부민2동, 암남동)[12] 2009년에 남부민3동이 남부민2동에 통합되었다.[13] 7회 지선 서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14] 관할 구역이 이 지역이 아닌 서구 제1선거구와 일치한다.[15] 비록 부산광역시더불어민주당에게 불리한 지역이라지만, 30% 이상의 지지세는 기본적으로 있기에 2~3명이 당선되는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가번 후보도 당선 확률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. 게다가 비록 옆 지역이긴 하나 원래 지역구를 포기하고 출마한 것이라 꽤나 큰 결단이라 볼 수 있다.